청소년을 위한 성평등 교육
페이지 정보
작성자 beyondit 댓글 0건 조회 4,297회 작성일 10-06-19 20:29본문
올해에는 아래와 같이 대림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과 4시간에 걸쳐 성 평등 교육을 하게 됩니다.
교육계획
① 배경
한국사회의 형식적-제도적 성 평등을 나타내는 남녀평등지수(GDI)는 상위권(170개국 중 28위, 2007년)이지만, 실질적-결과적 성 평등을 의미하는 여성권한척도(GEM)는 하위권(90개국 중 64위, 2007년)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. 이는 우리 사회가 기회와 조건에서는 남녀가 평등하다고 할 수 있고, 실제와 현실(결과)에서는 광범위한 남녀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. 이를 달리 표현하자면 추세적으로 성 불평등이 완화되고 있으나, 사회 곳곳에 여전히 성 차별적인 제도, 관습이 잔존하고 있는 셈이다.
그 중에서 청소년기는 성인 이후의 여러 생애주기에 걸쳐 쉽게 변하지 않는 사회문화적인 가치관,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. 이에 생애주기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취지에 의거하여 본 단체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고자 한다. 본 교육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연령의 청소년들은 아동기부터 TV와 인터넷에 익숙하여 대중매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왔고 지금도 많은 영향을 받는 세대이다.
이를 감안하여 본 교육의 내용은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TV드라마, 오락프로그램, 인터넷콘텐츠를 소재로 하여 구성되었고, 학습자의 참여를 극대화하여 자기주도 학습을 구현하고, 학습자 스스로 대안적인 콘텐츠를 구성해보는 창작체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.
너머서는 제도적이고 공개적으로 성 차별을 지속하고 있는 기독사회운동기관에서 활동하던 회원과 실무자들이 새롭게 창립한 회원단체로서, 2005년부터 성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고, 현재는 서울지역에서 지역 활동을 우선으로 하는 회원활동을 지속하고 있다.
② 목적 및 필요성
o 청소년들이 대중매체의 광고, 드라마, 오락프로그램에서 성 차별적인 장면과 내용을 구분할 수 있는 감수성을 갖도록 한다.
o 청소년들이 방송사와 제작자가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의 성 불평등을 알고 성 평등한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.
o 인터넷 성 표현물, 연애 등 청소년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분야에서 성 평등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.
<?xml:namespace prefix = o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office:office" />
③ 교육대상
- 청소년 390명(대림중학교 2학년 전원)
④ 교육생 확보방법
- 해당학교 직접 섭외
⑤ 교육일시 및 장소
- 일시 : 2010년 7월 5일~9일(월요일~금요일, 5일간)
- 장소 : 대림중학교
⑥ 교육 프로그램 구성방법
- 사전분석
▷ 2007년~2009년 ‘미디어를 활용한 청소년 성 평등 교육’ 평가
▷ 양성평등교육진흥원 발간 생애주기별 양성평등교육 문헌 분석
▷ 본 프로그램 컨설턴트, 자문위원회와 함께 교육프로그램 기조와 방법에 대한 자문회의 실시
-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
▷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설정
▷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선택
▷ 강의계획안, 강의보조자료 개발
▷ 강의 시연 및 보완
▷ 교육 실시
- 평가 및 보고서 작성
▷ 평가 도구 결과 분석
▷ 평가회(강사단, 자문위원, 컨설턴트, 관계 기관 참여)
▷ 자문위원(5명) : 김성희(너머서 대표), 이권명희(너머서 운영위원, 평화교육활동가), 이명화(아하!청소년성문화센터 센터장), 이해진(여성문화이론연구소 위원), 정미영(한성중학교 교사)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